신체적 자유 46

라면 먹고 얼굴 붓는 이유 – 나트륨 과잉이 말하는 건강 경고 신호

우리는 흔히 “나트륨은 혈압을 올리고, 칼륨은 부종을 유발한다”고 배웁니다.나트륨이 많아지면 삼투압이 높아져 수분이 혈관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이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게 되죠.반면 칼륨은 세포 안으로 수분을 끌어들여 세포 내부가 팽창하는 형태의 부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그런데 라면이나 부대찌개처럼 나트륨이 많은 음식을 먹었을 때, 혈압이 오르는 것보다 얼굴이 붓는 현상이 더 눈에 띄는 이유는 뭘까요?이 글은 바로 이 의문에서 시작합니다.나트륨이 혈압을 올리는 동시에 어떻게 얼굴이나 손발을 붓게 만드는지, 또 그 붓기가 단순한 체질 문제가 아닌 건강 상태의 반영이라는 점을 과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설명합니다.라면 한 그릇이 얼굴을 붓게 만드는 과정라면 한 개에는 평균 1,800~2,500mg의 나트륨이 들..

신체적 자유 2025.05.02

혈압은 수분이 만든다 – 고혈압의 원인과 해법을 삼투압에서 찾다

고혈압은 단순히 혈관이 좁아지거나 심장이 세게 뛴다는 이유로만 발생하지 않는다. 진짜 원인은 체내 수분의 위치를 바꾸는 '농도 차이', 즉 삼투압의 원리에 있다. 수분은 항상 더 많은 삼투질(농도가 높은 쪽)로 이동하며, 이때 수분이 혈관 안으로 몰리면 혈액량이 늘고, 그에 따라 혈압도 높아진다.삼투압이란 무엇인가?삼투압이란 반투과성 막을 사이에 두고 용질(삼투질) 농도 차이로 인해 물이 이동하려는 힘을 말한다. 체내에서는 혈관과 세포막이 반투과성 막의 역할을 하며, 그 양쪽의 삼투질 농도 차이에 따라 물이 이동한다.삼투질이 많은 쪽 = 삼투압이 높은 쪽수분은 항상 삼투압이 높은 쪽으로 이동예를 들어 김치를 소금에 절이면 김치 속 수분이 밖으로 빠지고, 반대로 짠 김치에 물을 담가 두면 김치가 수분을 끌..

신체적 자유 2025.04.25

집에서 만드는 건강빵 – 오븐 없이도 가능한 가장 현실적인 레시피

정제밀가루, 설탕, 버터, 쇼트닝 없이정말 건강한 빵을 만들 수 있을까?이 글은 그 질문에 대한 실질적인 답변입니다.집에 오븐이 없어도 만들 수 있는,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 건강하게 빵을 굽는 방법을 소개합니다.건강빵의 기준은 분명하다이전 글에서 정리한 건강빵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제밀가루 대신 통곡물가루 사용 - 설탕, 버터, 쇼트닝, 유화제 일절 무첨가 - 밤, 견과류, 무가당 건과일 등 천연 보완재 사용 - 계란은 영양과 식감 보완용으로 소량 사용 (선택)이 기준을 충족하는 빵은 시중에서는 거의 구할 수 없습니다.따라서 직접 만드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선택입니다.오븐 없이 만들 수 있는 도구전기밥솥: 가장 추천. 밥짓기 → 보온으로 조리 가능압력밥솥: 약불에서 굽는 방식. 수분 ..

신체적 자유 2025.04.23

건강빵의 조건 – 빵의 원리부터 건강한 조합까지 냉정하게 따져본다

요즘 통밀빵, 무설탕빵, 천연재료빵 등 ‘건강빵’이라는 이름이 넘쳐납니다.그런데 정말 그 빵들, 건강할까요?많은 사람들이 ‘건강한 빵’을 찾고 있지만,정말 건강한 빵이란 무엇이며, 그런 빵은 실제로 가능한 것일까요?이 글에서는 빵의 기본 구조에서 출발해,실제로 영양적으로 더 건강한 빵을 만드는 방법과그 한계까지 냉정하게 따져봅니다.빵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4가지 기본 재료의 역할기본적인 빵은 밀가루, 물, 이스트, 소금이라는 단 4가지 재료만으로도 만들어집니다.밀가루: 빵의 주체이자 구조를 형성하는 재료 (글루텐 형성)물: 글루텐 생성과 반죽을 가능하게 함이스트: 반죽 속 전분을 당으로 분해해 이산화탄소(CO₂)를 만들고 반죽을 부풀림소금: 맛을 조절하고, 이스트 발효 속도를 안정화이 네 가지가 모..

신체적 자유 2025.04.23

인슐린 저항 회로를 되살리면, 혈당 수치는 저절로 내려간다 – 몸의 자가치료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우리는 앞선 글에서 당뇨병의 본질이 단순한 고혈당이 아니라, 에너지를 쓰지 못하게 막는 고장난 대사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살펴봤다.이제 그 시스템을 되살리기 위해 필요한 건 단 하나, 실천이다.당을 내리는 약이 아닌, 몸의 회로를 다시 작동시키는 실질적인 행동 말이다.회복의 핵심은 '감수성 회복'이다인슐린 저항성을 되돌리는 핵심은 단순하다. 인슐린의 양이 아니라, 반응이다.즉, 간과 근육 세포가 인슐린에 다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그렇게 하려면?간과 근육에 쌓인 지방을 줄이고, 포도당을 다시 받아들일 수 있는 대사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그 시작이 바로 식단과 운동이다.식단 : 적게가 아니라, 다르게많은 사람이 ‘덜 먹으면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당뇨 회복에서 중요한 건 단순한 칼로리 제한이..

신체적 자유 2025.04.23

제대로 진단해야 제대로 고칠 수 있다 – 고장난 인슐린 저항 시스템을 해부하다

지난 글에서, 당뇨병이 단순히 혈당이 높은 상태가 아니라 간과 근육에 지방이 쌓이면서 에너지를 쓰지 못하는 대사 시스템의 고장임을 확인했다.그렇다면 회복을 이야기하려면, 고장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부터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어디가 막혔는지도 모르면서 뚫을 수는 없다.어떤 회로가 끊겼는지 모르면서 연결할 수는 없다.이번 글에서는망가진 대사 시스템이 왜 회복되지 않고 고착화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안에서 회복의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는지를 점검한다.몸은 회복을 원한다, 하지만 실패한다인슐린은 계속 분비된다. 간에는 "이제 포도당 만들지 마"라는 신호를,세포에는 "문을 열고 포도당을 받아들여 에너지를 써라"는 명령을 보낸다.하지만 간은 그 신호를 무시한 채 포도당을 계속 만들어낸다. 세포는 포도당을 흘려보내며 받아..

신체적 자유 2025.04.23

간과 근육에 지방이 쌓이면 당뇨병이 시작된다 – 고지방식, 과식이 핵심 원인

당뇨병이라고 하면 흔히 혈당이 높아지는 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맞는 말이지만, 절반만 맞습니다. 실제로는 혈당이 높아졌을 때 이를 처리하라고 지시하는 인슐린의 명령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 바로 ‘인슐린 저항성’이 당뇨병의 본질입니다.그렇다면 인슐린 저항성은 왜 생길까요? 그 핵심에 있는 것이 바로 지방의 비정상적 축적, 특히 간과 근육세포 안에 지방이 쌓이는 현상입니다.혈당은 넘치는데, 세포는 굶는다?당뇨병은 아이러니한 상태입니다. 혈관 안에는 포도당이 넘쳐나는데, 정작 세포는 에너지 부족 상태입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바로 세포가 포도당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슐린이 분비되어도 세포가 그 명령을 따르지 않는 상태, 이게 바로 인슐린 저항성이고, 그 근본 원인 중 하나가 ..

신체적 자유 2025.04.22

당뇨병, 포도당 대사를 알아야 보인다 – 인슐린과 혈당 조절의 구조

밥을 먹어야 인슐린이 나온다고 알고 계시죠? 맞는 말이지만 절반만 맞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인슐린은 식사할 때만 나오는 호르몬이고,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당뇨병의 본질을 이해하기엔 너무 단편적인 설명입니다.우리 몸은 밥을 먹든 안 먹든, 24시간 세포가 활동해야 하기 때문에 항상 포도당을 필요로 합니다. 세포는 포도당을 연료로 ATP(에너지)를 만들어 생명 활동을 유지합니다.그렇다면 우리가 밥을 안 먹을 때는 포도당이 어디서 나올까요? 바로 간이 중심 역할을 합니다. 간은 공복 상태일 때 저장해둔 글리코겐을 분해하거나, 아미노산·젖산·지방 등을 활용해 포도당을 새로 만들어 혈액에 공급합니다. 이 과정을 ‘당신생’이라고 합니다.이처럼 포도당은 24시간 공급되고 있으며, 이를..

신체적 자유 2025.04.22

신체적 자유④ – 운동·식단으로 만든 몸, 수치로 매일 확인하고 관리하라

건강은 감이 아니라 데이터입니다.운동, 식단, 수치 관리까지 실천하고 기록하는 사람이 신체적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운동과 식단처럼, 체성분 관리도 매일 실천해야 한다운동과 식단이 매일의 실천이듯, 체성분 관리도 마찬가지입니다.운동과 식단 루틴은 건강 수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 수치는 다시 다음 실천의 방향을 제시합니다.즉, 운동과 식단을 매일 실천한다면, 그 결과를 확인하는 수치 관리 역시 매일 이뤄져야 합니다.가끔 측정해서는 의미가 없고, 매일 혹은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추세를 읽는 것이 핵심입니다.인바디 체중계를 하나 장만해 매일 같은 시간(예: 아침 기상 직후)에 측정합니다.고가 장비가 아니어도, 경향성 확인에는 충분합니다.최근 인바디 체중계는 대부분 전용 앱과 연동되며, 측정값이 자동으..

신체적 자유 2025.04.21

신체적 자유② – 과도한 운동은 금물, 내게 맞는 ‘지속 가능한 운동’이 답이다

이번 글에서는 신체적 자유를 지키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인 ‘운동’에 대해 이야기합니다.무리한 운동보다 중요한 것은 ‘내 몸에 맞고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걷기, 근력 유지, 공원 운동기구 등 실질적인 실천법과 주의할 점을 정리합니다.몸을 움직일 수 없게 되는 첫 번째 이유는 ‘안 움직이기’ 때문이다노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운동 부족이 노화를 더 빠르게 만듭니다.하루 1,000보도 채 걷지 않는 은퇴자의 몸과하루 10,000보를 걷는 사람의 몸은 1~2년 사이에 극명한 차이를 보입니다.2021년 미국 JAMA 논문에 따르면,하루 평균 7,000보 이상 걷는 사람은 그보다 적게 걷는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50% 이상 낮게 나왔습니다.걷기는 단순한 유산소 활동이 아닙니다.걷는 동안 종아리..

신체적 자유 2025.04.21